
Woojin Kim
에이전트 이야기가 나와서 말인데 컨플루언스에서 이전 히스토리 보고 이거저거 해달라고 하면 얘가 머 검색도 하고 다른 문서도 읽고 히스토리도 보고 하는데 ...... 이것도 좀 ...... 그릏타......
에이전트 이야기가 나와서 말인데 컨플루언스에서 이전 히스토리 보고 이거저거 해달라고 하면 얘가 머 검색도 하고 다른 문서도 읽고 히스토리도 보고 하는데 ...... 이것도 좀 ...... 그릏타......
... 지난번에 이야기했었는데 warp 터미널로 뭐 하다가 틀리면 가끔 기계한테 상황을 물어보는데 얘가 상황 분석한다고 커맨드 막 넣는걸 보니 오싹하더라고요. 그리고선 “이 명령으로 해결할수있어 할래? (y/n)" 이러는데 ....... 약간 스카이넷 작동시키는 느낌 .....
https://hackers.pub/@nyeong/01989d45-41f1-7bfa-8f0a-f46fbe8fbaba
않이 에이전트가 ssh로 이러는 건 좀 무서운데...
않이 에이전트가 ssh로 이러는 건 좀 무서운데...
....... 내가 모르는 곳에서 조용히 나를 도와주는 분들이 이렇게 많았다. ....... 아 너무 고마움.
긴장 잘 안하는데 긴장된다. 상황이 좀 어렵다.
으악 더워
p4 dbverify
으 ...... 스트레스 상태를 어떻게 좀 완화해야 할텐데 ......
두밤만 더 자면 쉬는날이야!!
내가 요새 잠을 잔다고 생각해요?
캐릭터 수집 메커닉의 진화와 MMO 통합 가능성 https://blog.woojinkim.org/the-evolution-of-character-collection-mechanics-and-the-possibility-of-mmo-integration/
...... 이런걸 의도하고 시작한건 아니었는데 결국 기승전가챠 이야기 되어버림 ......
@[email protected] · Reply to Woojin Kim's post
아 재판 됐고 감옥사랑.
혹시 윤 감옥체질 아닐까. 너무 좋아서 나가기 싫은거지.
기계와 함께라면 인사평가 쉽다!
@[email protected] · Reply to realgsong's post
주 4일 근무가 맞는 것 같다. 나 그거 시켜 달라.
@[email protected] · Reply to Woojin Kim's post
기계가 올해 작성한 루트페이지부터 문서를 하나하나 살펴보기 시작했다. ...... 약간 일기장 검사받는 기분인데 ......
말리지마라. 올해 전체 업무 메모를 때려넣고 인사평가 텍스트 작성하라고 기계한테 시켰다.
요즘은 블로그가 thinking이 아니라 studying의 결과물에 더 가까운데 블로그 이름 바꿔야 하는 거 아닐까
@[email protected] · Reply to Woojin Kim's post
개인적으론 애플이 라우터를 포기할 때 많은 기회가 사라졌다고 생각. 그 기계야말로 타임머신 백업, 라우터, 로컬 언어모델의 빠른 응답 같은 걸 실현할 기회였음.
애플의 온디바이스 정책의 유일한 장점은 램 16기가 꽂아주는거야.
오늘도 퍼플렉시티 질문공세 시작. 일해라! 돈 값 해야지!!
@[email protected] · Reply to Woojin Kim's post
어떻게 역량을 강화해 왔느냐는 질문에 모른다고 할 수만은 없다.
간혹 정말 괜찮은 주니어님들이 있는데 환경이 참 구릴 때가 있다. ... 그럴때 어떻게 해드려야 할 지 모르겠음. 내 권한으로 안되는게 많다.
‘앞/전’과 ‘뒤/후’의 비대칭성은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지옥을 선사할 것이다.
참고로 이거 다 국립국어원의 잘못이 아니라 한국어의 잘못임. 이건 표준국어대사전이 그냥 현실을 반영했을 뿐이다. 즉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도 0.000001% 정도 잘못이 있다.
- ‘앞일’은 미래인데(예: 앞일을 예측하다), ‘뒷일’도 미래다(예: 뒷일을 부탁하네). 맞죠?
- 마찬가지로, ‘앞길’은 미래다(예: 앞길이 창창한 젊은이). 그런데 ‘뒷길’도 미래다(예: 자식의 뒷길을 생각하면 걱정이 앞선다).
- ‘뒷날’도 미래고(예: 우리는 뒷날 또 만나게 되었다), ‘훗날’도 미래다(예: 훗날을 기약하다). 그런데 ‘앞날’도 미래다(예: 앞날이 창창하다). 희한하게 ‘전날’만 과거이다.
- 그런데 ‘앞날’은 간혹 과거를 가리킬 수도 있다(예: 일찍이 앞날의 폭군은 있었고…).
- 관형사형에 ‘뒤’나 ‘후’를 붙여서 시점을 나타낼 수 있다(예: “고친 뒤의 모습” 또는 “고친 후의 모습”). 그런데 반대로 하려면 관형사형이 아니라 명사형을 써야 한다(예: “고치기 전의 모습”). 그리고, ‘전’만 쓸 수 있다. ‘앞’은 여기서 아예 쓸 수 없다.
- ‘후일’은 미래의 아무 날이나 다 가리키며, 특정한 날을 가리킬 수 없다. 반면 ‘전일’은 직전, 즉 인접한 과거의 1일만 가리킨다.
- 그런데 또 ‘전날’은 인접한 과거의 1일을 가리킬 수도 있고, 과거의 아무 날을 가리킬 수도 있다.
- 그런데 또 ‘훗날’은 미래의 아무 날을 뜻하며, 인접한 미래의 1일을 가리킬 수 없다.
- ‘전년’과 ‘후년’은 각각 과거의 아무 해, 또는 미래의 아무 해를 가리킬 수 있다. 대, 대칭인가?!
- 하지만 특정한 해를 가리키는 경우, ‘전년’은 인접한 과거의 해를 가리킨다. 반면 ‘후년’은 ‘올해의 다음다음 해’이다.
- …뭐라고? 왜냐하면 미래의 해들은 순서대로 ‘내년’-‘후년’-‘내후년’이기 때문이다. 책상 엎어버리고 싶죠?
- 참고로 ‘내후년’은 동음이의어이다. 올해가 2025년이라면 내후년은 2027년을 가리킬 수도 있고 2028년을 가리킬 수도 있다. (이게 언어냐?)
- ‘후년’이 ‘올해의 다음다음 해’가 되는 이 원리는 오직 ‘년’에만 적용된다. 예를 들어 ‘후일’, ‘후주’, ‘후월’ 등에는 그런 의미가 없다.
- ‘후일’은 미래의 아무 날이다. 하지만 ‘후주’와 ‘후월’은 인접한 미래의 것 하나만 가리킨다.
- ‘전년’은 인접한 과거의 해이지만, 과거의 모든 해를 다 가리킬 수도 있다(예: 우리는 전년의 기록들을 검토하여 그 사람의 행적을 조사해 보기로 했다).
- 반면 ‘전일’, ‘전주’, ‘전월’은 오직 인접한 과거의 하나만 가리킬 수 있다.
- ‘전달’과 ‘훗달’도 비대칭이다.
도대체 이걸 어떻게 배워서 쓰라는 것인지. 생각해 보면 나도 실제로 이렇게 쓰고 있다는 것도 기가 찬다.
그밖에:
- ‘지난날’에는 특정한 날을 가리키는 뜻이 전혀 없다. 반면 ‘지난주’, ‘지난달’, ‘지난해’는 모두 과거의 인접한 하나만 가리킨다.
- ‘다음 날’과 ‘다음날’은 의미가 완전히 다르다. ‘다음날’은 ‘정하여지지 아니한 미래의 어떤 날’이다. 따라서 인접한 미래의 1일을 가리킬 때에는 ‘다음 날’만 쓸 수 있다. (도저히 못 외우시겠으면 그냥 ‘이튿날’로 피신하시라…)
아파트단지에서 풀어놓고키우는 진짜차카니고양이가잇는데 (주인잇음 밤엔집에감) 오늘봐서인사햇더니 자기 밥도시락잇는곳으로데려가더니 뚜껑열어달라고함
밥너무많이잇어서 열어줘도되는지모르겟어서안열어줌
고스트 6으로 언제 올라가지 ...
올바른 재시작을 위한 점검 https://blog.woojinkim.org/checking-for-a-proper-restart/
@[email protected] · Reply to Woojin Kim's post
아니잠만! 그럼 안돼!!
@[email protected] · Reply to Woojin Kim's post
회사에서 주는 천연 위고비가 중화되는 느낌.
간만에 주말에 느긋하게 집 기계로 글쓰니까 되게 평화롭고 좋다.